직급별, 연령별 평균연봉 -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 연봉은 얼마일까?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 연봉수준은 얼마일까? =
연봉상승률로만 보면 사원에서 대리로 승진할 때가 상승률이 가장 크구요.
중위소득이라고 하면 대한민국 소득의 중간값이라는 것인데,
실제로 직장인들 월급 수준은 어느 정도이며, 내 소득은 평균은 넘는 수준일까? 아니면 평균 미달일까?
이 주제를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연봉
직장생활 하면서 제일 중요한 것은 보수와 승진이라고 하지요.
승진은 뭐 실제로 직장생활을 해나가면서 본인의 노력과 운도 많이 작용하겠지만 보수, 즉 연봉은 아니죠.
미리 내가 들어가고자 하는 기업의 연봉 수준을 알고 있다면 아무런 정보 없이 입사하는 것보다야 훨씬 나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렇게 중요한 연봉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직장인들은 보통 평균적으로 얼마의 연봉을 받고 있을까?
직장인 직급별 평균연봉에 대한 이야기와, 각 기업들의 연봉 수준에 따른 중소기업, 대기업 연봉 순위를 파악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직장인 평균연봉, 직장인인 내가 현재 받고 있는 연봉은 직장인 평균연봉으로부터 추산해봤을 때, 평균에 미달할까, 아니면 넘어갈까?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러면 관련 자료를 한 번 봐봅시다.
24년 대한민국 직장인 평균연봉
사원 평균연봉(1-2년차) : 3,014만원
주임 평균연봉(3-4년차) : 3,321만원
대리 평균연봉(4-8년차) : 4,011만원
과장 평균연봉(8-12년차) : 4,841만원
차장 평균연봉(12-17년차) : 5,645만원
부장 평균연봉(17-22년차) : 7,155만원
위의 자료는 제가 뇌피셜로 임의로 휘갈긴 자료는 아니구요,
취업전문사이트 잡코리아에서 낸 연봉통계를 기반으로 한 자료(출처: 잡코리아 연봉통계)입니다.
사원 평균연봉이 3,014만원이니까, 대졸사원 연봉 평균은 아마 3,500만원 언저리쯤이 될 것 같네요.
그렇다면 승진해서 각 직급이 바뀌게 될 때, 연봉상승률은 어떻게 될까요?
24년 직장인 평균연봉 변화(연봉상승률)
사원→대리 : 997만원, 연봉상승률 33%
대리→과장 : 830만원, 연봉상승률 21%
과장→차장 : 804만원, 연봉상승률 17%
차장→부장 : 1,510만원, 연봉상승률 27%
와, 승진할 때 직장인 평균연봉 변화를 실제로 계산해서 정리해보니까,차장에서 부장으로 승진할 때 상승액이 장난 아니네요.
연봉상승률로만 보면 사원에서 대리로 승진할 때가 상승률이 가장 크구요.
그렇다면 연령별로는 어떨까요?
24년 연령별 평균연봉
20대 초반 평균연봉 : 2,711만원
20대 후반 평균연봉 : 2,955만원
30대 초반 평균연봉 : 3,342만원
30대 후반 평균연봉 : 3,951만원
40대 초반 평균연봉 : 4,556만원
40대 후반 평균연봉 : 5,265만원
50대 초반 평균연봉 : 5,718만원
와우... 20대 초반에도 이렇게 열심히 일해서 3000만원에 가까운 급여를 받는 청년들도 있군요...ㅠ
나는 그 때 뭐했지ㅠㅠㅠ
아무튼 직장인 평균연봉은 대략 이렇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의 출처는 앞에서도 언급드린 것처럼 잡코리아 연봉통계이구요,
잡코리아 연봉통계에 들어가시면 아래 이미지처럼 더 다양한 정보도 보실 수 있습니다.
저는 위 통계자료를 방문자분들이 보기 쉽게 단순히 정리한 것 뿐이구요.
블로그 이사 중이라 댓글, 공유가 엄~청 큰 힘이 됩니다!
즐거우셨다면 댓글, 공유 부탁드려요 ^^
댓글
댓글 쓰기
★ 댓글 작성자가 【익명】이면 구분도 안 되고 수정, 삭제도 안 되어요 ★
① 【Google 계정】으로 댓글 남겨주시거나 ② 【익명】 → 【이름/URL】 변경 후 URL 없이 이름만 적어주셔도 더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어요